-
1. 물리계층 (1계층)
컴퓨터끼리 통신할 때, 비트열의 데이터를 랜 카드가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랜 카드에는 MAC 주소가 있다. MAC 주소는 48비트로, 앞 24비트는 제조사 번호, 뒤 24비트는 제조사에서 랜 카드에 부여한 번호로 각각의 MAC 주소들은 중복되지 않는다. ex) 00-23-AE-D9-7A-9A
2. 물리계층의 장비
1) 랜 케이블
랜 케이블은 다른 말로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이라고도 하며, STP와 UTP가 있다.
랜 케이블의 양 끝에는 포트에 연결할 수 있게 RJ-45가 달려 있다.- 다이렉트 케이블 : 주로 컴퓨터와 스위치를 연결할 때 사용
- 크로스 케이블 : 컴퓨터들을 직접 랜 케이블로 연결할 때 사용 (구리선들이 교차로 연결되어 있어서, 데이터 충돌이 일어나지 않음)
2) 리피터
리피터는 약해진 전기신호를 정상 파형으로 만드는 일을 한다.
(최근에는 리피터를 대체하는 다른 기기 사용으로, 리피터는 거의 쓰지 않음)3) 허브
허브는 '리피터 허브'라고도 부른다. 리피터와 비슷하게 전기신호를 정형하고 증폭시키는 일을 한다.
허브에는 포트가 여러개 있어서 컴퓨터들을 여러대 연결 할 수 있다.
그러나, 송신측 포트에서 데이터를 보낼때, 목적지 포트가 아닌 모든 포트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더미 허브라고도 부른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장비로는 스위치가 있는데, 데이터링크 계층의 장비이다.)'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계층 (0) 2022.05.30 데이터링크 계층 (0) 2022.05.24 캡슐화와 역캡슐화 (0) 2022.05.23 HTTP와 HTTPS (0) 2022.05.18 TCP/IP 4계층 (0) 2022.05.16